금은 투자관련 정보

골드바,실버바 중고거래 사기 유형, 가짜 골드바 주의보

금이야기 2025. 5. 20. 12:41

최근 중고 플랫폼에서 골드바·실버바 거래를 위장한 사기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합리적 가격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가짜 골드바·선입금 유도·제 3자 사기까지 교묘한 수법들이 있습니다. 일반인들은 모르면 100% 당할 수밖에 없는 사기수법들, 지금부터 저와 함께 확인해 보시죠! 단 한 번의 실수로 큰 금전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시세보다 저렴한 금·은 거래, 100% 의심해야 합니다

 

❗ 시세보다 지나치게 저렴한 금·은 거래, 100% 의심


사람의 심리는 자연스럽게 ‘조금이라도 더 저렴한 가격’을 찾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의 금 매입 시세보다 저렴하게 골드바나 실버바를 판매한다면, 반드시 의심해봐야 합니다.

왜 의심해야 할까요?
중고나라나 당근마켓에 귀금속을 올릴 정도의 사람이라면,
오늘의 시세나 매입가 정도는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귀금속 매장에서 바로 매입 가능한 시세인데,
굳이 중고 사이트에 번거롭게 판매할 이유가 없습니다.

💬 대표적인 사기 수법
"사정상 급하게 처분해야 해서 시세보다 저렴하게 팝니다."

이렇게 접근한 뒤,

"연락이 너무 많이 와서요. 먼저 하시려면 계약금이나 선입금 보내주세요."
라는 식으로 선불 입금을 유도합니다.

✅ 기억하세요!
정상적인 거래에서 선입금·계약금·보증금 요구는 절대 하지 않습니다.
가격이 지나치게 좋아 보인다면, 그 자체가 가장 강력한 경고 신호입니다.

2. 연락처 불분명, 신분증 요구 무시 

📵 연락 두절·신분 확인 거절… 이런 판매자는 반드시 의심하세요!


골드바나 실버바 같은 고가 물품 거래에서 연락처가 불분명하거나, 신분 확인을 거부하는 판매자는 반드시 의심해야 합니다.

⚠️ 이런 경우 특히 주의하세요!

판매자의 전화번호나 메신저 계정이 실제 존재하지 않는 가짜 번호거나
대표번호처럼 보이지만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메신저로는 연락이 되지만, 직접 통화는 어렵다며 회피하는 경우

신분증 또는 실물 인증 요청에 대해 계속해서 거절하거나 핑계를 대는 경우

“영상으로 실물 좀 보여주세요” 요청에 대해
“귀찮다”, “시간 없다”며 영상을 보내지 않는 경우

🧾 실제 사례에서 추천하는 안전한 거래 방식
저의 경우, 상대방이 요청한 다음 항목을 기꺼이 제공했습니다:

✔ 사업자등록증을 국세청에서 실시간으로 발급받는 영상
✔ 실물 제품을 직접 촬영한 동영상

👉 실물을 직접 보지 못하고 거래해야 하는 구매자의 입장을 생각한다면,
이 정도는 판매자가 당연히 해줄 수 있는 기본적인 예의입니다.

판매자가 이를 거절하거나 불쾌해한다면, 거래를 다시 한번 신중히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연락이 안 되고, 인증도 회피한다면 99% 사기입니다.

제 3자 사기

🚨 속기 쉬운 '제삼자 사기' 유형

이 수법은 구매자의 경계심을 무너뜨리기 위해
제삼자를 등장시키는 교묘한 방식의 사기입니다.

❗ 이런 식으로 접근합니다
판매자가 이렇게 말합니다:

“그럼 믿을 수 있게 제3자를 연결해 드릴게요.”

그러고 나서 등장하는 사람은
👮 경찰관, 🧾 국세청 직원, ⚖️ 검사 등을 사칭한 인물.

이들은 다음과 같은 말을 합니다:

“보증금을 제가 맡아드릴게요.”
“공식 수수료가 필요하니 입금해 주세요.”

→ 공공기관은 개인 간 거래에 개입하지 않습니다!
→ 이런 방식은 100% 사기입니다.

✅ 기억하세요

경찰, 세무서, 검찰 등의 이름을 꺼낸다고 해서 안심하지 마세요.
신뢰를 조작하려는 연기일 뿐입니다.
이런 제안이 나오면 즉시 거래를 중단하고 112에 신고하세요.

상품 관련 사기 

🎭 상품 관련 사기, 이렇게 속입니다
고가 거래에서 실물을 보여주지 않거나, 다른 물건을 제시하는 경우는
대부분 의도적인 사기일 가능성이 큽니다.

❗ 대표적인 수법 예시

1️⃣ “아기가 갑자기 아파서 나갈 수 없다”며
자신의 집 현관에 물건을 걸어놨다고 하고,
막상 가보면 아무것도 없는 경우

2️⃣ “금고에 보관돼 있어서 지금은 꺼낼 수 없다”거나
“지금 집에 없다”며 실물을 보여주지 않는 경우

3️⃣ 거래 장소에 나왔지만,
실제 계약과 전혀 다른 물건을 꺼내는 경우
(예: 100g 금이라더니 10g, 실버바라더니 코팅 제품 등)

✅ 반드시 확인하세요
실물 확인 없이 거래를 유도하면 바로 중단하세요.

사진, 영상, 실시간 영상통화 등 실물 인증을 요구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의심되면 거래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 [가짜 골드바 사기] - 꼭 확인하세요! 🚨

[주의] '골드캐슬' 프레스 골드바 사기 주의보

최근 귀금속기술협회 및 유통협회를 통해 전체 문자로 공유된 내용입니다.
가짜 골드바를 이용한 매입 사기로 실제 금방이 큰 피해를 입은 사례가 발생했습니다.

 

골드캐슬가짜금사진
골드캐슬_가짜금_사진

❗ 사기 사례 요약

신분증을 위조한 뒤,
정교하게 만든 가짜 골드바를 귀금속 매장에 판매한 사례. 

**GOLD CASTLE (골드캐슬)**이라는 상호가 각인된
프레스형 골드바를 사용

아크릴 케이스를 벗기지 않고 무게와 각인만 보고 매입한 업자들이 피해를 본 사례입니다.

이건 골드바 제작업자도 속을 만한 사기입니다.
보통 케이스 골드바는 제품에 함량과 상호가 기재가 되어 있어 저울까지 확인하는 업자들이 거의 없습니다.


➤ 겉모습은 정품과 매우 흡사하며,
➤ 실제 금보다 무게가 더 무겁게 제작된 합금입니다.


🔍 사기 골드바 주요 특징

항목 내용
브랜드 각인 GOLD CASTLE (골드캐슬)
순도 표기  999.9
중량 표기 37.5g
주요 특징 실제 금보다 무겁고, 눈으로 식별 어려움


✅ 반드시 확인하세요!

프레스형 골드바는 케이스를 제거 후 실측/검사 필수
눈으로만 보고 매입하는 것은 매우 위험
일반 소비자도 절대 육안만으로 구매 판단 금지

📌 현재 유통 중인 ‘골드캐슬’ 브랜드 프레스 골드바는 모두 가짜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 단, ‘골드캐슬’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다른 정품 브랜드에 피해가 없도록 주의 바랍니다.
이 정보는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한 공익 목적의 공유입니다.

 

결제 방식 유도 사기

결제 방식 유도 사기, 이렇게 당합니다
사기꾼들은 믿을 수 있는 사람처럼 보이기 위해 이렇게 말합니다:

“제가 아는 사이트로 결제하시면 수수료도 안 들고 더 편해요!”
“여기 링크로 들어가서 결제하시면 됩니다!”

⚠️ 하지만 이 링크를 클릭하면?


중국 사이트나 정체불명의 해외 사이트로 연결되고
결제 정보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순간,


➤ 내가 결제하지도 않은 금액이 빠져나가는 피해 발생
➤ 카드번호, 휴대폰 인증까지 탈취될 위험 존재

🚫 반드시 기억하세요


결제 방식을 바꾸자고 유도하는 거래는 절대 하지 마세요.
안전한 거래는 직접 만나거나, 검증된 플랫폼 내에서만 이뤄져야 합니다.
“수수료가 없다”, “더 싸게 해준다”는 말은 사기의 시작일 수 있습니다.

마무리 조언: 골드바·실버바 거래, 이렇게 하세요

최근 금·은 시세가 상승하면서,
골드바·실버바는 중고 거래 시장에서 사기 수단으로 자주 악용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저희 고객 중에도 중고나라, 당근마켓 등에서 사기를 당한 뒤
저와 안전하게 거래하신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 "중고 플랫폼이 더 싸다"는 건 선입견입니다.


요즘 중고 거래 플랫폼에 올라온 골드바 가격이
제가 판매하고 있는 정품 시세보다 오히려 더 비싼 경우도 많습니다.

‘중고니까 싸겠지’라는 생각은 위험한 착각입니다.

🚫 절대 하지 말아야 할 것들

택배 거래는 금물
→ 물건을 보지도 않고 입금하지 마세요.

주소지부터 알려주며 "먼저 보낸다"는 판매자
→ 구매자가 미안해서 돈을 송금하게 만들려는 수법입니다.

택배송장, 발송 사진도 모두 조작 가능
→ 증거가 아닙니다.

🛡️ 가장 안전한 방법은?

믿을 수 있는 귀금속 매장에서 직접 거래
→ 실물을 눈으로 보고, 검증된 업자와 거래하세요.

꼭 중고 플랫폼을 이용해야 한다면
→ 신분증 확인, 실물 확인, 직접 대면 거래는 필수입니다.

가능하다면 귀금속 매장에 함께 방문해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이상하거나 불안한 느낌이 든다면,
즉시 거래를 중단하고 112에 신고하세요.

특히 골드바처럼 고가의 실물 자산은
무조건 실물 확인 + 검증된 중개자 + 대면 거래가 원칙입니다.